김정은 위원장이 순천린(인)비료공장 건설 현장을 현지지도하는 모습(사진=노동신문-뉴스1)

국제사회의 계속된 제제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경제성장율이 3년만에 다시 블러스 성장해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유엔경제사회국(UN DESA)과 유엔무역개발회의(UNCTAD) 등 여러 유엔 기구가 16일 공동으로 ‘2020 세계 경제 상황과 전망’ 보고서에서 2019년 북한의 경제 성장률(실질 GDP 성장률)이 1.8%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7년에 -3.5%, 2018년에 -4.2%를 기록했지만, 지난해에는 플러스 성장으로 돌아섰으며, 올해 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1.8%에서 2.2%로 소폭 오르고, 내년은 2.8%로 좀 더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소비자 물가 변동률은 지난해 4.8%로 전년(2018)의 4.7%와 비슷했고, 올해는 5.0%, 내년은 4.9%로 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북한의 GDP 성장률은 1997∼2011년 평균 0.8% 수준을 유지했으며, 2012년 1.3%, 2013년 1.1%, 2014년 1.0%, 2015년 –1.1%를 기록하다가 2016년에 3.9%로 크게 반등했다.

그러나 대북 제재가 강화된 2017년 -3.5%로 이어 2018년에는 –4.2%를 기록했다.

보고서는 지난해 6월 기준으로 유엔 회원국의 1인당 총소득 규모를 고소득, 중상 소득, 중하 소득, 저소득 등 4개 국가군으로 나누면서 북한을,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 이남 최빈국들이 대부분인 저소득 국가로 분류했다.

미국과 한국은 고소득 국가로 분류하면서 지난해 경제 성장률을 각각 2.2%와 2%로 추산했다.

북한의 이러한 성장은 대북제재가 계속되면서 자강력이 생겨 군수공장을 중심으로 우수한 공산품 생산이 늘어나 수입이 줄고 대신 내수 공급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아울러 대북제제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러시아의 직간접적인 제재 우회 영향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관련해 임을출 경남대 교수는 "유엔의 이러한 통계는 매우 실질적이고 현실적인 분석을 한 것"으로 평가했다.

임 교수는 “사실 김정은 위원장은 강력한 제재를 받고 있으면서도 이에 굴복하지 않고 오히려 투자, 생산, 소비 등 모든 측면에서 더 높은 성장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해 왔다”고 지적했다.

특히 “유엔기구들은 북한내 상주하면서도 생산과 건설 현장을 지켜봐 왔기 때문에서 그 평가에 대해 어느 정도 신뢰성을 담보하고 있다고 볼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동엽 경남대 교수는 "북한은 2020년에 내부를 위해 외부에 쓸데없이 힘빼는 제2전선을 만들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정면돌파전의 제1노선인 경제총력노선을 뒷받침하는 수단이 공세적 외교와 함께 핵의 질량적 강화, 군사력의 현대화로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또 "한미연합훈련, 미국의 독자제재 등에 따라 긴장의 수위를 조절하는 행동을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SPN 서울평양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